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코딩테스트
- Python
- dns
- 자격증
- network
-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
- Django
- ICQA
- 네트워크
- 패스트캠퍼스
- 프로토콜
- 파이썬
- Dynamic Programming
- FTP
- deep learning
- Windows Server
- 네트워크 관리사 2급
- 자료구조
- 네트워크 관리사
- IPV4
- 기본 정렬
- Protocol
- 알고리즘
- Algorithm
- 머신러닝
- 네트워크 자격증
- Machine learning
- 서브넷마스크
- 실기
- 딥러닝
- Today
- Total
쳉지로그
[네트워크]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 본문
서브네팅(Sub-netting)
-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개 ip, 다수 네트워크 ip로 분할하는 작업
(목적 및 필요성)
1. 효율성 (관리 용이) :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낭비를 막음
2. 성능 (Broadcast) :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단위 축소
3. 보안 (네트워크 분리) :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안성 강화
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
-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망. 즉,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 아이디와 호스트 아이디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됨
- IP 주소 32Bit에 공통 비트 1을 씌워서 네트워크를 표기하기 때문에 32Bit 체계
Prefix?
- 서브넷 마스크 맨 앞의 비트부터 1의 개수를 표기하는 방식
ex) 255.255.255.0 (1이 24개)=> /24
Example 1
10.0.24.100 255.0.0.0 의 '(1)Network Address, (2)Broadcast Address, (3)할당 가능한 호스트 주소, (4)호스트 개수'를 구하시오.
(Solution)
* 255.0.0.0 => 11111111.00000000.00000000.00000000 => /8
(1) Network Address
- 호스트 비트를 0으로 채운 00001010 00000000 00000000 00000000 => 10.0.0.0
(2) Broadcast Address
- 호스트 비트를 1로 채운 00001010 11111111 11111111 11111111 => 10.255.255.255
(3) 할당 가능한 호스트 주소
-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사이에 있는 IP주소들이 호스트에게 할당 가능한 주소
=> 10.0.0.1 ~ 10.255.255.254
(4) 호스트 개수
- 호스트 비트가 24Bit이기 때문에 (2^24 - 2)개
Example 2
192.168.4.100/26 의 '(1)Network Address, (2)Broadcast Address, (3)할당 가능한 호스트 주소, (4)호스트 개수'를 구하시오.
(Solution)
* /26 => subnet mask의 1의 개수 = 26개
(1) Network Address
- 호스트 비트를 0으로 채운 11000000 10101000 00000100 01000000 => 192.168.4.64
(2) Broadcast Address
- 호스트 비트를 1로 채운 11000000 10101000 00000100 01111111 => 192.168.4.127
(3) 할당 가능한 호스트 주소
-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사이에 있는 IP주소들이 호스트에게 할당 가능한 주소
=> 192.168.4.65 ~ 192.168.4.126
(4) 호스트 개수
- 호스트 비트가 6Bit이기 때문에 (2^6 - 2)개
- 레퍼런스
-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hatesunny&logNo=220790654612
- https://blog.daum.net/hellstar/23
'네트워크 > 기초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MAC 주소(Media Access Control Address) (0) | 2021.10.13 |
---|---|
[네트워크] TCP/I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/Internet Protocol) (0) | 2021.10.13 |
[네트워크] IP 주소(Intertnet Protocol Address) (0) | 2021.10.12 |
[네트워크] 네트워크(Network) (0) | 2021.10.12 |
[네트워크] 라우팅(Routing) (0) | 2021.10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