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파이썬
-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
- 패스트캠퍼스
- 네트워크 자격증
- 코딩테스트
- 알고리즘
- 실기
- network
- ICQA
- 네트워크 관리사
- Machine learning
- 딥러닝
- 자료구조
- deep learning
- IPV4
- dns
- Windows Server
- 네트워크
- 프로토콜
- 네트워크 관리사 2급
- Django
- Dynamic Programming
- FTP
- Algorithm
- 자격증
- 기본 정렬
- Protocol
- 서브넷마스크
- 머신러닝
- Python
Archives
- Today
- Total
쳉지로그
[자료구조 이론] 7. 해쉬 테이블 (Hash Table) 본문
- 키(Key)에 데이터(Value)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
- Key를 통해 바로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어 속도가 빠름
- 파이썬 딕셔너리(Dictionary) 타입 - 별도 구현 필요 없음
- 장점
- 데이터 저장/읽기 속도가 빠르다. (검색 속도가 빠르다.)
- 키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지(중복) 확인이 쉬움
- 단점
- 일반적으로 저장공간이 조금 더 많이 필요
- 여러 키에 해당하는 주소가 동일할 경우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 자료구조가 필요
- 주요 용도
- 검색이 많이 필요한 경우
- 저장, 삭제, 읽기가 빈번한 경우
- 캐쉬 구현시 (중복 확인이 쉽기 때문)
(관련 용어)
- 해쉬(Hash) : 임의의 데이터를 고정 길이로 변환하는 것
- 해쉬 테이블(Hash Table) : 키 값의 연산에 의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
- 해싱 함수(Hashing Function) : Key에 대해 산술 연산을 이용해 데이터 위치를 찾을 수 있는 함수
- 해쉬 값(Hash Value) 또는 해쉬 주소(Hash Address) : Key를 해싱 함수로 연산해서 해쉬 값을 알아내고, 이를 기반으로 해쉬 테이블에서 해당 Key에 대한 데이터 위치를 일관성있게 찾을 수 있음
- 슬롯(Slot) :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
- 저장할 데이터에 대해 Key를 추출할 수 있는 별도 함수도 존재 가능
간단한 해쉬 예
리스트 변수를 활용한 해쉬 테이블 구현
'코딩테스트 > 자료구조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 이론] 시간 복잡도 (0) | 2021.05.10 |
---|---|
[자료구조 이론] 더블 링크드 리스트(Doubly Linked List) (0) | 2021.05.09 |
[자료구조 이론] 링크드 리스트(Linked List) (0) | 2021.04.16 |
[자료구조 이론] 스택(Stack) (0) | 2021.04.14 |
[자료구조 이론] 큐(Queue) (0) | 2021.04.14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