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dns
-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
- 코딩테스트
- 서브넷마스크
- 네트워크 관리사
- 자격증
- network
- 머신러닝
- IPV4
- 자료구조
- 패스트캠퍼스
- Python
- ICQA
- FTP
- 기본 정렬
- Windows Server
- Django
- Machine learning
- 프로토콜
- 네트워크 관리사 2급
- deep learning
- 파이썬
- Protocol
- 알고리즘
- 네트워크 자격증
- 실기
- Algorithm
- 딥러닝
- 네트워크
- Dynamic Programming
- Today
- Total
목록네트워크 (30)
쳉지로그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CXJy/btrhMfAZoi2/9sEociaVIBg6wIQvIyf760/img.jpg)
FTP(File Tranfser Protocol) - TCP/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(출처: 위키백과). 즉, TCP/IP 네트워크(인터넷)상의 장치가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규칙 FTP 동작 원리 - FTP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여기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사이에 두 개의 연결이 생성 - 인터넷을 통한 파일 송수신만을 위해 고안된 프로토콜이므로 동작 방식이 직관적이고 단순함 - port 21 : 데이터(파일)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주고 받음 - port 20 : 실제 데이터(파일) 전송에 사용 FTP 통신 - FTP는 데이터(파일) 전송 시 두 가지 모드(능동 모드, 수동 모드)를 지원 - 능동 모드 데이터 전송 시 서버는 20번 포트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wZfU/btrhzb6GpRn/ksVvMgoMIzJam7X4fC2wTk/img.png)
2021 시험 일정 시험 소개 -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 설정, 시스템 최적화 등 네트워크구축 및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 관련 기술력에 대한 자격 응시 자격 1) 필기 - 1급 당협회 시행 해당종목 2급자격 소지자 전기,전자,통신,정보처리 직무분야 국가기술 자격취득자 중 아래 해당자 가. 기술사, 기사, 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 나. 기능사 자격 취득한 후 동일직무 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IT관련 사업장에서 5년이상 종사한자 상기 1항 이상 해당자 - 2급 : 제한 없음 2) 실기 - 1/2급 : 해당등급 필기 합격자로서 합격일로부터 2년 이내의 응시자 검정과목 / 문항 수 / 제한시간 1급 등급 검정방법 검정과목 주요항목 문항수 제한시간 유형 1급 필기 네트워크일반 네트워크 개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30dz/btrhA2nH9Is/zxBG8HNhLF6SGLmkKQtRSk/img.webp)
MAC 주소(Media Access Control Address) -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(출처: 위키백과) - 컴퓨터 사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있는 컴퓨터의 고유한 "물리적" 주소 - 총 48 Bit 길이의 주소 - 16진수로 표현하며, 6쌍의 자리로 이루어져 있음 (00-00-00-00-00-00 or 00:00:00:00:00:00 or 0000.0000.0000) - 앞 여섯 자리 : OUI(Organizational Unique Idntifier) 주소 = 제조사를 나타내는 코드 - 뒤 여섯 자리 : 호스트 주소 = 제조사의 각 제품별 시리얼 번호 MAC 주소 확인 방법 - 현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랜카드의 맥주소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LvHCL/btrhFx7MFNZ/fH8NAe53qZt0Yot4wG0yJk/img.png)
프로토콜(Protocol) - 컴퓨터 내부에서, 또는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 TCP/IP 프로토콜 - IP(Internet Protocol) : 네트워크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프로토콜 /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송 -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: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토콜 / 데이터의 정확성 확인 => TCP/IP : 데이터가 의도된 목적지에 닿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통신 규악 TCP/IP 4계층 - OSI 7계층을 더욱 추상화 한 TCP/IP 4계층 등장 1)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(물리, 데이터링크 계층) - TCP/IP 패킷을 네트워크 매체로 전달하는 것과 네트워크 매체에서 TCP/IP 패킷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담당 - 물리적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1KBB/btrhAfGFzxG/choAV1ADRhoamKkOOTrK7K/img.png)
서브네팅(Sub-netting) -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개 ip, 다수 네트워크 ip로 분할하는 작업 (목적 및 필요성) 1. 효율성 (관리 용이) :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낭비를 막음 2. 성능 (Broadcast) :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단위 축소 3. 보안 (네트워크 분리) :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안성 강화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 -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망. 즉,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 아이디와 호스트 아이디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됨 - IP 주소 32Bit에 공통 비트 1을 씌워서 네트워크를 표기하기 때문에 32Bit 체계 Prefix? - 서브넷 마스크 맨 앞의 비트부터 1의 개수를 표기하는 방식 ex) 255.255.255.0 (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XYc0/btrhtUvJtpT/Qqm4AeKqJ9UhDUIyAwSJZ0/img.png)
IP 주소(IP Address) - 네트워크 상 컴퓨터(노드) 간 통신을 하기 위해 부여된 각 노드의 위치 주소 IPv4 (IP version 4) -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 주소 - 주소의 범위는 32비트 (0.0.0.0 ~ 255.255.255.255) - 중간의 일부 번호들은 특별한 용도를 위해 예약되어 있음 (ex. 127.0.0.1 : 로컬 호스트) - 옥테드(8자리 2진수)는 . 으로 구분 IPv6 (IP version 6) - IPv4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IPv4 주소 체계를 128비트로 확장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- 두 자리 16진수 여덟 개(16bit씩 8부분)를 쓰고, 각각 : 으로 구분 IP 주소 (A, B, C) 클래스 - IPv4주소는 인터넷 주소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phPU/btrhvPt5Esd/knCXNmTmvjEYClEZEWrPok/img.jpg)
네트워크(Network) -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한 것 네트워크의 종류 1. PAN(Personal Area Network) -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2. LAN(Local Area Network) -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- 한 사무실, 건물, 캠퍼스 등에서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며 소유자는 개인 3. MAN(Metropolitan Area Network) -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- 한 도시 정도의 규모에 펼쳐져 있는 네트워크 (예. 인천광역시. 서울특별시) 4. WAN (Wide Area Network) - 지역적으로 넓은 범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(ex. 인터넷) 네트워크의 구조 - 네트워크의 구조는 토폴로지(Topology)로 나타낸다...
라우팅(Routing) VS 포워딩(Forwarding) - 라우팅 :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포워딩 테이블을 만드는 작업 (=Relaying) - 포워딩 : 포워딩 테이블에 적힌 목적지 주소에 대응된 출력 포트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작업 (=Switching) 라우팅(Routing) -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- 즉, 어떤 네트워크 안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동적 라우팅(Dynamic Routing)? 정적 라우팅(Static Routing)? 1. 정적 라우팅(Static Routing) - 네트워크 관리자가 직접 설정(Routing Table에 정보를 하나하나 등록) - Router나 네트워크에 주는 부하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