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Protocol
- 딥러닝
- network
- 파이썬
- 네트워크 자격증
- IPV4
- 자격증
- 코딩테스트
- 네트워크 관리사 2급
- Windows Server
- 실기
-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
- 프로토콜
- Python
- 기본 정렬
- 패스트캠퍼스
- 머신러닝
- Algorithm
- 네트워크 관리사
- 자료구조
- 네트워크
- Django
- ICQA
- dns
- deep learning
- 알고리즘
- 서브넷마스크
- FTP
- Machine learning
- Dynamic Programming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57)
쳉지로그
나스(NAS, Network Attatched Storage) -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, 네트워크로 연결된 저장장치 - LAN으로 연결하는 외장 하드디스크 (반대: DAS, Direct Attached Storgage) NAS 특징 (장점) - 언제 어디서든(인터넷만 된다면) 파일 접속 가능 - 파일 공유가 쉽게 가능 - 용량 업그레이드가 자유로움 - 클라우드 서비스에 비해 저렴 (초기 설치비용이 발생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이 고정비용이 발생하지는 않음) (단점) - 네트워크 연결이 필수적 - DAS보다 속도가 느림
Well-Known Port - 특정한 쓰임새를 위해서 IANA에서 할당한 TCP 및 UDP 포트 번호의 일부 (0~1023) - 일반적으로 포트 번호는 0~65535까지 사용 Well-Known Port 목록
이더넷(Ethernet) -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, 일반적으로 LAN, MAN 및 WAN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 (출처: 위키백과) - 가정이나 건물과 같은 로컬 환경의 컴퓨터 및 기타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통신 표준 - 이 로컬 환경은 LAN으로 정의됨 - 현재 UTP케이블 및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며 스타형 구조(과거: 버스형) - IEEE 802.3 표준 - ip주소와 MAC주소 사용 - OSI 모델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을 담당 CSMA/CD 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/ Collision Detection) - LAN의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 - 이더넷 환경에서 사용 -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 - 반이중(Half-..
주소 결정 프로토콜(ARP, Address Resolution Protocol) -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(MAC 주소)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(출처: 위키백과) ARP가 필요한 이유? - IP주소만으로는 통신이 불가능함 ( PC에 할당된 주소가 아니라 네트워크에 할당된 주소이므로) - ARP를 활용해 MAC주소를 알아내서 정확한 위치를 찾아야함 IP 주소만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이유 - IP주소는 가변적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변경될 수 있음 그렇기 때문에 랜카드 고유번호인 MAC 주소가 필요함 MAC 주소만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이유 - 라우터에 통신을 할 수 있는 전 세계의 모든 PC의 MAC 주소를 다 등록하기에는 저장공간이 버텨내지를 못함 그렇기 때문에 IP 주..
FTP(File Tranfser Protocol) - TCP/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(출처: 위키백과). 즉, TCP/IP 네트워크(인터넷)상의 장치가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규칙 FTP 동작 원리 - FTP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여기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사이에 두 개의 연결이 생성 - 인터넷을 통한 파일 송수신만을 위해 고안된 프로토콜이므로 동작 방식이 직관적이고 단순함 - port 21 : 데이터(파일)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주고 받음 - port 20 : 실제 데이터(파일) 전송에 사용 FTP 통신 - FTP는 데이터(파일) 전송 시 두 가지 모드(능동 모드, 수동 모드)를 지원 - 능동 모드 데이터 전송 시 서버는 20번 포트..
2021 시험 일정 시험 소개 -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 설정, 시스템 최적화 등 네트워크구축 및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 관련 기술력에 대한 자격 응시 자격 1) 필기 - 1급 당협회 시행 해당종목 2급자격 소지자 전기,전자,통신,정보처리 직무분야 국가기술 자격취득자 중 아래 해당자 가. 기술사, 기사, 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 나. 기능사 자격 취득한 후 동일직무 분야에서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IT관련 사업장에서 5년이상 종사한자 상기 1항 이상 해당자 - 2급 : 제한 없음 2) 실기 - 1/2급 : 해당등급 필기 합격자로서 합격일로부터 2년 이내의 응시자 검정과목 / 문항 수 / 제한시간 1급 등급 검정방법 검정과목 주요항목 문항수 제한시간 유형 1급 필기 네트워크일반 네트워크 개..
MAC 주소(Media Access Control Address) -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(출처: 위키백과) - 컴퓨터 사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있는 컴퓨터의 고유한 "물리적" 주소 - 총 48 Bit 길이의 주소 - 16진수로 표현하며, 6쌍의 자리로 이루어져 있음 (00-00-00-00-00-00 or 00:00:00:00:00:00 or 0000.0000.0000) - 앞 여섯 자리 : OUI(Organizational Unique Idntifier) 주소 = 제조사를 나타내는 코드 - 뒤 여섯 자리 : 호스트 주소 = 제조사의 각 제품별 시리얼 번호 MAC 주소 확인 방법 - 현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랜카드의 맥주소..
프로토콜(Protocol) - 컴퓨터 내부에서, 또는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 TCP/IP 프로토콜 - IP(Internet Protocol) : 네트워크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프로토콜 /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송 -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: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토콜 / 데이터의 정확성 확인 => TCP/IP : 데이터가 의도된 목적지에 닿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통신 규악 TCP/IP 4계층 - OSI 7계층을 더욱 추상화 한 TCP/IP 4계층 등장 1)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(물리, 데이터링크 계층) - TCP/IP 패킷을 네트워크 매체로 전달하는 것과 네트워크 매체에서 TCP/IP 패킷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담당 - 물리적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