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네트워크 자격증
- Python
- 네트워크
- ICQA
- deep learning
- 실기
- 머신러닝
- Protocol
- 서브넷마스크
- 코딩테스트
-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
- Windows Server
- 기본 정렬
- 알고리즘
- 프로토콜
- 패스트캠퍼스
- dns
- Algorithm
- 자료구조
- 딥러닝
- 파이썬
- network
- IPV4
- 네트워크 관리사
- FTP
- Dynamic Programming
- 네트워크 관리사 2급
- Django
- Machine learning
- 자격증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57)
쳉지로그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1KBB/btrhAfGFzxG/choAV1ADRhoamKkOOTrK7K/img.png)
서브네팅(Sub-netting) -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개 ip, 다수 네트워크 ip로 분할하는 작업 (목적 및 필요성) 1. 효율성 (관리 용이) :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낭비를 막음 2. 성능 (Broadcast) :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단위 축소 3. 보안 (네트워크 분리) :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안성 강화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 -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망. 즉,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 아이디와 호스트 아이디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됨 - IP 주소 32Bit에 공통 비트 1을 씌워서 네트워크를 표기하기 때문에 32Bit 체계 Prefix? - 서브넷 마스크 맨 앞의 비트부터 1의 개수를 표기하는 방식 ex) 255.255.255.0 (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XYc0/btrhtUvJtpT/Qqm4AeKqJ9UhDUIyAwSJZ0/img.png)
IP 주소(IP Address) - 네트워크 상 컴퓨터(노드) 간 통신을 하기 위해 부여된 각 노드의 위치 주소 IPv4 (IP version 4) -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 주소 - 주소의 범위는 32비트 (0.0.0.0 ~ 255.255.255.255) - 중간의 일부 번호들은 특별한 용도를 위해 예약되어 있음 (ex. 127.0.0.1 : 로컬 호스트) - 옥테드(8자리 2진수)는 . 으로 구분 IPv6 (IP version 6) - IPv4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IPv4 주소 체계를 128비트로 확장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- 두 자리 16진수 여덟 개(16bit씩 8부분)를 쓰고, 각각 : 으로 구분 IP 주소 (A, B, C) 클래스 - IPv4주소는 인터넷 주소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phPU/btrhvPt5Esd/knCXNmTmvjEYClEZEWrPok/img.jpg)
네트워크(Network) -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한 것 네트워크의 종류 1. PAN(Personal Area Network) -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2. LAN(Local Area Network) -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- 한 사무실, 건물, 캠퍼스 등에서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며 소유자는 개인 3. MAN(Metropolitan Area Network) -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- 한 도시 정도의 규모에 펼쳐져 있는 네트워크 (예. 인천광역시. 서울특별시) 4. WAN (Wide Area Network) - 지역적으로 넓은 범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(ex. 인터넷) 네트워크의 구조 - 네트워크의 구조는 토폴로지(Topology)로 나타낸다...
라우팅(Routing) VS 포워딩(Forwarding) - 라우팅 :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포워딩 테이블을 만드는 작업 (=Relaying) - 포워딩 : 포워딩 테이블에 적힌 목적지 주소에 대응된 출력 포트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작업 (=Switching) 라우팅(Routing) -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- 즉, 어떤 네트워크 안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동적 라우팅(Dynamic Routing)? 정적 라우팅(Static Routing)? 1. 정적 라우팅(Static Routing) - 네트워크 관리자가 직접 설정(Routing Table에 정보를 하나하나 등록) - Router나 네트워크에 주는 부하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8gbfr/btrg4JW2RtT/RwHyQWXf5wgz7oX2m1Zt31/img.png)
방화벽(Firewall) - 수신/발신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. 관리자가 설정해 놓은 보안 규칙(ACL, Access Control List)에 따라 허가되지 않은 외부 접속 시도를 차단하여 내부 정보 자산을 보호한다. -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의 경계선에 위치한다. 방화벽의 주요 기능 1. 접근제어(Access Control) - 들어오고 나가는 패킷에 대해 허용/차단 - 구현 방법에 따라 '패킷 필터링 방식'과 '프록시 방식'으로 나뉨 2. 감사 및 로깅(Auditing/Logging) - 트래픽에 대한 접속 정보 기록 3. 인증(Authentication) - 여러 인증방법(메시지 인증, 사용자 인증, 클라이언트 인증)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호스트에 대한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8dbu/btrg7YFEYVX/JJaNJSQLmCOXvFrsLqyuJ0/img.png)
Scale Up? Scale Out? 대규모 트래픽에 대처하기 위해 리소스를 확장하는 2가지 방법 1. Sclae Up(수직 스케일링) : 리소스의 수직적 확장 - 서버 자체를 증강하는 것 -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적합한 방식 (데이터 정합성 이슈에서 자유롭기 때문) - 성능 확장에 한계가 있다. - 하나의 서버에 부하가 집중된다. 2. Scale Out(수평 스케일링) : 리소스의 수평적 확장 - 서버의 대수를 늘려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- 웹서버에 적합한 방식 - 지속적 확장이 가능하다. - 여러 서버에 작업이 분산 처리된다. - 각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균등하게 해주는 로드밸런싱이 필수적이다. 로드밸런싱(Load Balancing), 부하분산 - 네트워크 기술의 일종으로. 둘 혹은 셋 이상의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tyeAQ/btrgRTdqwDk/mCfCohP2uJI2GjPrKPLKsk/img.png)
OSI 7 계층(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) - 국제표준화기구(ISO)에서 개발한 모델로,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7단계로 나누어 설명한 것. 즉, 네트워크 통신의 7단계 과정 [하위층(1~4 Layer)] 1. 물리 계층(Physical Layer, PHY) - 어떤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기본 네트워크 하드웨어 전송기술들로 구성된다. - 전기적 특성을 이용해 신호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. - 물리 매체를 통해 bit 흐름을 전송한다. 2.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 - 장치 간 신호를 전달하는 물리 계층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주변 장치들 간 데이터를 전송한다. - 노드와 노드 사이의 데이터를 전달한다. - 주요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oXnYP/btrgRUiFEDx/Zw2UtnNwjfhdXMPQuKnv0k/img.png)
SSL(Secure Socket Layer)이란? - SSL은 네트워크에서 메시지 전송 시 보안을 적용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프로토콜로, 웹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의 종단 간 보안과 데이터 무결성을 보증한다. SSL? TLS? HTTPS? - SSL과 TLS는 보안 계층을 만들어 HTTPS 뿐만 아니라 FTP, SMTP와 같이 다른 응용 프로토콜에도 적용할 수 있다. HTTPS는 TLS와 HTTP가 조합된 프로토콜만을 가리키는 것이다. - TLS(SSL 3.0 version 표준)는 가장 최신 기술로 더욱 강력한 SSL이다. 하지만 일반적으로 SSL이 더 많이 사용되는 용어로, 여전히 보안 인증서는 SSL이라고 불린다. 즉, TLS와 SSL은 같은 의미의 용어라고 봐도 무방하다. SSL 인증서 - 클라이언트..